본문 바로가기

지혜의 글

바다와 나비 / 김기림

바다와 나비/김기림


아무도 그에게 수심을 일러 준 일이 없기에

흰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.


청무 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

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

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온다.


삼월 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


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승달이 시리다.


*김기림은 1930년대 초 조선일보 기자로 활동을 했다. 대표 시집은 <기상도> <바다와 나비> 등이 있다. 이 시는 시인의 정서, 시인의 현실과 시대 상황을 반영한다. 따라서 이 시에서 나비는 시인 김기림을 말하는 것이고 힘든 환경을 바다로 표현했다. 마지막 구절 "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승달이 시리다" 에서 참신한 표현력이 두드러진다.


#가끔 나도 모험을 하는 편이라, 힘이 든 상황이 오면 항상 이 시를 떠올린다. 세상이 얼마나 힘든지 모르기 때문에 모험을 하는 것이고, 그것이 좌절 되었을 때에는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승달이 시린 것처럼 나의 마음에 세상이 각박하기만 한 것이다. 참으로 명시이다. 

-바다와 나비-

'지혜의 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비에 관한 시 <비>정지용  (0) 2017.04.18
마음 / 김광섭 시인  (0) 2017.04.17
그리운 바다 / 메이스필드  (0) 2017.04.14
랭보의 시 <감각>  (0) 2017.04.13
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<명시>  (0) 2017.04.11